작성일 : 13-03-26 10:43
글쓴이 :
bluma
 조회 : 11,003  추천 : 0  비추천 : 0
|

1. 에베레스트(Everest ) 8,848 네팔/중국 2. 케이투(K2) 8,611 파키스탄/중국 3. 캉첸중가(Kangchenjunga) 8,586 네팔/인도 *얄룽캉(Yalung Kang) 8,505 네팔 4. 로체(Lhotse) 8,511 네팔/중국 *로체샤르(Lhotse Shar) 8,400 네팔/중국 5. 마칼루(Makalu) 8,463 네팔/중국 6. 초오유(Cho Oyu) 8,201 네팔/중국 7. 다울라기리(Dhaulagiri) 8,167 네팔 8. 마나슬루(Manaslu) 8,163 네팔 9. 낭가파르밧(Nanga Parbat) 8,125 파키스탄 10. 안나푸르나(Annapurna) 8,091 네팔 11. 가셔브룸1봉(GasherbrumⅠ) 8,068 파키스탄/중국 12. 브로드피크(Broad Peak) 8,047 파키스탄/중국 13. 가셔브룸2봉(Gasherbrum Ⅱ) 8,035 파키스탄/중국 14. 시샤팡마(Shisha Pangma) 8,012 중국
○ 에베레스트=초모룽마=사가르마타 영국의 측량국장 워의 제창으로 전임자 에베레스트의 공적을 기려 마운트 에베레스트라고 명명되었다.티베트에서 옛부터 초모룽마(Chomo Lungma : 세계의 어머니신母神)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. 중국은 쭈무랑마[珠穆朗瑪] 이외의 명칭을 인정하지 않으며, 네팔에서는 사가르마타(Sagarmatha)라 부른다. '사가르마타'는 '우주 만물의 어머니'(Mother of the Universe)라는 뜻이다.
○ K2 1856년 인도 측량국의 영국 공병장교 몽고메리가 카슈미르에서 바라본 카라코람의 고봉을 순차적으로 K1, K2,…K32까지 기록한 데서 'K2'라는 별칭이 붙었으며, 이는 카라코람의 2호라는 뜻이다. 몽고메리의 이름을 따 몽고메리산이라고 하기도 했다. 1861년 고드윈오스턴(고드윈오스틴)이 발토로 빙하를 발견한 후 처음으로 K2에 접근한 업적을 기념하여 고드윈오스틴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. 원래 토속명(土俗名)으로는 답상(Dapsang), 또는 초고리(Chogori)이다. 초고리는 발티어로 '큰 산'이라는 뜻인데, ‘초고’는 ‘크다’라는 뜻이고 ‘리’는 ‘산’을 뜻한다. '하늘의 절대군주'라는 별칭도 있다.
○ 칸첸중가 티베트어로 눈이란 뜻의'캉(Kang)', 크다란 의미의 '첸(Chen)', 보고(寶庫)란 뜻의 '주(Ju), 그리고 다섯이란 뜻의 '은가(Nga)'가 합쳐진 말이다.따라서 '5개의 큰 눈의 보고', '5개의 보물 눈봉우리산', '흰눈으로 이루어진 다섯 개의 보물창고 "위대한 눈의 다섯 보고(寶庫)'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.
○ 얄룽캉(칸첸중가 서봉) 이 봉우리에 대한 뜻 설명은 현재 찾을 수 없다. 그러나 칸첸중가와 마찬가지로 '캉'은 '눈'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.
○ 로체 티베트어로 '남쪽'. 에베레스트의 남쪽 봉우리라는 뜻.
○ 로체샤르(로체 동봉) '로체'는 남쪽, '샤르'는 '동쪽'을 뜻한다.따라서 '남쪽의 동쪽', '남동쪽 봉우리'를 뜻한다.
○ 마칼루 산스크리트어로 '검은 귀신'(마카하라=검은 신)
○ 초오유 산스크리트(Sanscrit)어의 복합어로서 '초'는 신성(神性)을 뜻하는 말이며 '오'는 여성을 뜻하는 어미(語尾)로, '초오'는 여신(女神)이라는 뜻이다. '오유'의 '유'는 터키옥(玉)을 의미한다. 즉 '초오유'는 '터키보석의 여신' 또는 '청록 여신이 거처하는 산'이라는 뜻이 된다.
○ 다울라기리 산스크리트어로 'Devanagiri'에서 비롯되었으며, 'Dhavalagiri(다발라기리)'의 단축형으로, 'Dhavala'는 '희다'는 뜻이고 'Giri'는 '산'이란 뜻이니 다울라기리는 '하얀 산', '흰 산'을 의미한다.
○ 마나슬루 산스크리트어로 '마음', '정신', '영혼'을 뜻하는 마나사 (manasa)와 토지를 의미하는 룽(Lung)의 합성어로 '영혼의 산', '영혼의 나라' 라는 뜻이다. 그래서 대략 '지혜(Intrllect)의 산' 또는 '정신(Soul)이 깃든 산'이라고도 해석한다.
○ 낭가파르밧 산스크리트어로 'Nanga'는 '벌거벗은' 이라는 뜻이고 'Parbat'은 '산'이라는 뜻이다. 고로 '벌거벗은 산'이 된다.서쪽에 사는 다르드계 주민들에 의해 불리고 있는 별칭인 디아 미르(Dia Mir)는 "산들의 왕" 또는 "혼령이 있는 산"이다.
○ 안나푸르나 산스크리트 어로 '풍요의 여신', '제공자'
○ 가셔브룸1,2 티벳 방언인 발티어로 '아름답다'라는 'Rgasha'와 '산'이라는 'Brum'의 합성어로, '빛나는 벽' 또는 '아름다운 산'이라는 뜻이다. 원래 '가셔브룸 Ⅳ' 에 붙인 이름이었다.발토르 빙하의 콩코르디아(Concordia)에서 쳐다보면 Ⅳ봉의 빙벽이 마치 빛나는 벽처럼 반짝여 보이기 때문이다. 히든1봉(Hidden Peak)과 Ⅳ봉과는 달리 가셔브룸Ⅱ에는 적당한 애칭이 없다.
○ 브로드피크 발티어로 '넓은 눈의 산'이란 뜻을 지닌 팔첸 캉리(Falchen Kangri)가 있었으나 1892년 콘웨이가 이끄는 영국탐험대의 정찰 때 '폭 넓은 봉우리'란 뜻으로 현재의 이름 브로드(Broad) 피크(Peak)로 붙여졌다.'육중하고 험악한 괴물'이라는 별칭이 있다.
○ 시샤팡마 '일기 변화가 심한 산'이라는 뜻이다.(산스크리트어인지 티베트어인지는 불확실하다.) 티베트인들에게는 ‘신의 거주지’라는 뜻의 고사인탄(Gosainthan)이란 이름으로도 불린다.
|
|
|